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PER 이란? | 초보자를 위한 쉬운 설명

by 점프마리오 2025. 3. 20.
반응형

1. PER 뜻

PER은 'Price to Earnings Ratio'의 약자로, 한국어로는 '주가수익비율'이라고 합니다. 말 그대로 주가가 기업의 수익(순이익)에 비해 얼마나 비싼지 또는 저렴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
 

 

 

 

2. PER 계산법

PER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됩니다.

PER = 주가 ÷ 주당순이익(EPS)

  • 주가: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 가격
  • EPS: 주당순이익(Earnings Per Share) = 기업의 순이익 ÷ 총 발행 주식 수

예를 들어, A기업의 주가가 50,000원이고, EPS가 5,000원이라면 PER은 10배입니다.

 

 

 

 

3. PER의 의미

  • PER이 낮다 = 주가가 수익에 비해 저평가되어 있을 가능성
  • PER이 높다 = 주가가 수익에 비해 고평가되어 있을 가능성

다만 PER이 낮다고 무조건 좋은 기업, PER이 높다고 무조건 나쁜 기업은 아닙니다. 업종, 기업 성장성, 경기 상황에 따라 PER의 해석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4. PER 활용법

PER은 같은 업종 내 기업들을 비교할 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.

  • 동일 업종에서 PER이 낮은 기업: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기업으로 해석 가능
  • 동일 업종에서 PER이 높은 기업: 시장에서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는 경우가 많음

예: 기술주나 성장주는 PER이 높아도 미래 성장성을 반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5. PER의 한계

  • 적자 기업은 EPS가 0 또는 마이너스이므로 PER 계산이 불가능
  • 업종에 따라 PER이 높고 낮음이 다르게 나타남 (예: IT vs 제조업)
  • 미래 예상 실적이 반영되지 않음 (현재 실적 기준)

 

 

6. PER을 볼 때 주의할 점

  • 반드시 같은 업종 내에서 PER 비교
  • 현재 실적 외에도 기업의 미래 성장성, 재무 상태, 산업 트렌드 고려
  • PER 외에도 PBR, ROE 등 다른 지표와 함께 분석하면 더 정확

요약

  • PER = 주가 ÷ EPS
  • PER이 낮으면 저평가, 높으면 고평가로 해석
  • 같은 업종 내 기업 비교에 적합
  • 다른 재무 지표와 함께 참고하면 더욱 효과적
반응형